B2B CART
기관 문자통역 | B2B CART(Communication Access Realtime Translation)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전문적으로 문자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AUD,
농난청인(청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모두의 접근성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환경을 만들어갑니다.
13,697
누적 지원시간
5,290
누적 지원기관
64
문자통역사 수
(2021년 12월 31일 기준)
Service
서비스 내용
에이유디에서 한글 속기사 자격증을 소지한 문자통역사를 현장으로 보내드립니다.
기관에서 주최하는 컨퍼런스, 세미나, 회의, 교육 등 행사에서 쉐어타이핑 문자통역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온라인 생중계 / 빔스크린 / 스마트 기기 등 현장의 상황에 맞게 지원합니다.
농난청인의 접근성을 보장하고 자유로운 소통 환경을 구축합니다.
Target
대상
공공, 민간기업, 사회복지시설, 교육기관, 비영리민간단체 등
Procedure
이용절차
Campaign
캠페인
행사 준비할 때 청각장애인의 접근성을 고려하고 있나요?
포럼, 세미나, 컨퍼런스 등의 온라인, 오프라인 행사를 기획하기 전 단계부터 농난청인 의사소통 접근성을 고려해야합니다.
접근성 지원에는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적극적 접근성 지원'과 '소극적 접근성 지원'이 있습니다.
첫번째, '적극적 접근성 지원'은 농난청인의 참여 유무에 상관없이 처음부터 문자통역이나 수어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두번째, '소극적 접근성 지원'은 농난청인이 '필요'와 '요구'에 따라 의사소통 지원 요청을 하면 그때부터 문자통역이나 수어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보통, 참가자 신청 받을때 어떤 의사소통 지원이 필요하는지 물어보는 문항이 추가 되어야 해요.
세번째, 의사소통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행사 안내문이나 포스터에 접근성 마크를 붙어주세요.
N_FORUM 참가신청서 의사소통 접근성 문항 예시
접근성 마크
FAQ
자주하는 질문
Inquiries
문의 및 상담
예. 화상으로 행사가 진행될 경우, 문자통역사가 해당 화상 채널에 입장해 쉐어타이핑 등 원격 문자통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자통역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문자통역 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온라인 문자통역 바로가기
에이유디의 사업장은 서울이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지역은 서울/경기권입니다.
하지만 출장비를 추가하시면 지방에서도 문자통역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이유디에서는 서울/경기 외에도 전국 어디든, 심지어 제주도에까지 문자통역 서비스를 제공합니다.